pio
공감할 수
있는 사실
문화리서치 피오의 PIO는
더 나은 제안(Proposal)을 위해서
조사(Investigation)을 통해
문화예술계와 시민의 생각(Opinion)에 귀 기울인다는
영단어의 앞 문자에서 가져온 이름입니다.
빨리 읽으면 '표/pyo/'처럼 들려서,
조사와 연구를 업으로 삼는 회사의 이름답고,
"꽃이 피오"에서 '피오'처럼 들리기도 해서
문화예술계에서도 근거에 바탕을 둔 논의가
만화방창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았습니다.
Mission
문화리서치피오는
문화예술에 대해 공감할 수 있는 사실을 발굴해
생산적인 논의의 마당에 펼쳐 보이는 일입니다.
2005년 첫 발을 내딛은 이후 피오는
40여 기관의 클라이언트와 함께 약 300여 건 이상의 조사연구로
문화예술계의 크고 작은 의사결정과 논의를 뒷받침해 오고 있습니다.
Fact Exploration Areas: 문화리서치 피오의 전문영역
![문화리서치 피오의 전문영역](/img/imgPio02.png)
Exploration Style: 피오가 추구하는 가치
- 문화예술에 대한 공감
전문 리서치 회사는 많습니다. 하지만, 문화예술인과 공감할 수 있는 회사는 희소합니다.
문화예술 연구에서
숫자로 표현할 수 있는 것과 표현할 수 없는 것의 차이, 체감하는 현실과 조사 결과의 차이를 논의하는 것이 왜 필요한 지 클라이언트만큼 이해하고 있습니다.
- 정성이 담긴 자료 수집
숫자로 표현하기 어려운 이야기는 한 단어라도 더 귀담아 듣고, 말하기도 어려운 체험은 한 줄이라도 흘려 기록하지 않습니다.
쉽게 뿌려지고, 걷히는 것이 당연히 여겨지는 설문지도 작성해 주신 분의 소중한 마음인 만큼 꼼꼼하게 구합니다.
- 창의적인 연구 설계
클라이언트의 고민은 빠르게 변화하고, 자료의 중요성은 날로 묵직해 가는데 조사의 짜임과 방법, 조사 도구는 늘 제자리걸음입니다.
방법론과 관련한 국내외 최신 논의에 눈을 떼지 않고 목적에 최적화된 창의적인
조사방법을 제안합니다.
- 쉽게 읽히는 유용한 보고서
어려운 그림과 표만 이어 붙인 보고서, 가독성 떨어지는 만연체 보고서,
피오는 만들지 않습니다.지금 반드시 관심을 가져야 할 것과 천천히 살펴야 할 것, 영향력이 큰 것과 세밀한 것을 쓰임을 고려해 정돈합니다.
그래서 잘 만들어진 보고서는 사전처럼 소장되고 유용하게 쓰일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.